Statistics(5)-Moment Generating Function
이번 POST는 한양대학교 수리통계학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 입니다.
문제나 자세한 내용은 mykepzzang 블로그를 참조하였습니다.
7. 적률생성함수(Moment Generating Function)
적률
확률변수 X의 원점에 대한 r차 적률
확률변수 \(X^r\)의 기댓값 \(E(X^r)\)를 확률변수 X의 원점에 대한 r차 적률이라 하고 이를 \(\mu r^{'} = X^r\)
$$\mu r^{'} = E(X^r) = \begin{cases} \sum_{x}x^rf(x), & \mbox{이산형} \\ \int_{-\infty}^{\infty}x^rf(x)\,dx, & \mbox{연속형} \end{cases} $$
확률변수의 적률은 분포의 특징을 설명해주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 평균, 분산, 왜도, 첨도는 모두 적률의 함수이다.
\(\mu r = E[(X-\mu)^r]\): 평균 \(\mu\)에 대한 \(r\)차 중심적률
적률 생성 함수 \(M_x (t)\)
확률변수 X의 적률생성함수 \(M_x (t)=E(e^{tx})\)로 정의한다.
$$ M_x (t) = \begin{cases} \sum_{x}e^{tx} f(x), & \mbox{이산형} \\ \int_{-\infty}^{\infty}e^{tx} f(x)\,dx, & \mbox{연속형} \end{cases} $$
적률생헝함수 구하기
$$\frac{\partial^r}{\partial t^r}M_{x}(t)|_{t=0} = M_{x}^{(r)}(0) = E(x^r) = \mu r^{'}$$
위에식에서 적률생성 함수를 변형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frac{\partial}{\partial t} M_{x}(t)|_{t=0} = \frac{\partial}{\partial t} \int_{-\infty}^{\infty} xe^{tx}f(x)\, dx |_{t=0} = \int_{-\infty}^{\infty} xf(x)\, dx = E(X) = \mu 1^{'}$$
$$\frac{\partial}{\partial t^2}M_{x}(t)|_{t=0} = \frac{\partial}{\partial t^2} \int_{-\infty}^{\infty} x^2e^{tx}f(x)\, dx |_{t=0} = \int_{-\infty}^{\infty} x^2f(x)\, dx = E(X^2) = \mu 2^{'}$$
$$\therefore \frac{\partial^r}{\partial t^r}M_{x}(t)|_{t=0} = M_{x}^{(r)}(0) = E(x^r) = \mu r^{'}$$
ex) 확률변수 X가 B(n,p)를 따를 때 X의 적률생성함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mu = np, \sigma^2 = npq\)임을 증명하여라.
$$B(n,p) = {}_{n}\mathrm{C}_{x} p^x q^{n-x}$$
$$B(n,p) = \sum_{x=0}^{n} {}_{n}\mathrm{C}_{x} p^x q^{n-x} = (p+q)^n$$
$$M_x(t) = \sum_{x} e^{tx}f(x) = \sum_{x=0}^{n} e^{tx} {}_{n}\mathrm{C}_{x} p^x q^{n-x}$$
$$= \sum_{x=0}^{n} {}_{n}\mathrm{C}_{x} (e^t p)^x q^{n-x} = (pe^t+q)^n$$
$$\frac{\partial}{\partial t} M_{x}(t)|_{t=0} = n(pe^t + q)^{n-1}pe^t|_{t=0} = n(p+1)^{n-1}p = np = E(X)$$
$$\frac{\partial}{\partial t^2} M_{x}(t)|_{t=0} = n(n-1)(pe^t + q)^{n-2}pe^tpe^t + n(pe^t+q)^{n-1}pe^t|_{t=0} = n(n-1)p^2+np = np(np+1-p)=np(np+q) = E(X^2)$$
$$V(X) = E(X^2) - (E(X))^2 = np(np+q)-np^2 = npq$$
적률함수의 특징
확률변수 X와 Y가 같은 적률생성함수를 가지면 즉, 모든 t에 대하여 \(M_{x}(t) = M_{Y}(t)\)이면 두 확률변수(x,y)는 같은 확률분포(f(x),g(y))를 가진다.
먼저 각각의 적률생성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M_{x}(t) = \int_{-\infty}^{\infty} e^{tx}f(x)\, dx$$
$$M_{y}(t) = \int_{-\infty}^{\infty} e^{ty}g(y)\, dy$$
위에서 각각의 확률변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자.
$$x \in R_{x}\text{ , } y \in R_{y}\text{ , } R_{x} \cup R_{y} = A \text{ , } a \in A$$
위에서 정리한 a를 활용하여 각각의 적률생성 함수를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M_{x}(t) = \int_{-\infty}^{\infty} e^{ta}f(a)\, da$$
$$M_{y}(t) = \int_{-\infty}^{\infty} e^{ta}g(a)\, da$$
위의 식에서 먼저 가정을 \(M_{x}(t) = M_{Y}(t) \rightarrow f(x) = g(y)\)로서 두었기 때문에 대입한다.
$$M_{x}(t) = M_{y}(t) \rightarrow M_{x}(t) - M_{y}(t) = 0 = \int_{-\infty}^{\infty} e^{ta}(f(a) - g(a))\, da$$
$$\therefore f(a) = g(a) \rightarrow f(x) = g(y) \because e^{ta} > 0$$
참조: 한양대학교 수리통계학 수업
참조: mykepzzang 블로그
코드에 문제가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면 wjddyd66@naver.com으로 Mail을 남겨주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