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uralNetwork (2) Loss Function
Loss Function
머신러닝에서 Optimazation을 통하여 Loss Function에서 cost(loss)가 최소가 되는 부분을 찾는다.
이러한 과정을 위해서 Loss Function을 정의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방법인 MSE와 음의 로그우도(negative log-likelihood)에 대해서 알아보자.
MSE(mean square error)
MSE(mean square error)는 오차의 제곱에 대한 평균을 취한 값으로 통계적 추정의 정확성 에대한 질적인 척도로서 많이 사용된다.
식은 아래와 같이 나타내게 된다.
$$f_c(x)=\sum_{i=0}^n (y_i-\hat{y_i})^2$$
$$y_i: 실제값, \hat{y_i}: 예측값, n: 데이터의 개수$$
MSE가 많이 사용되나 제곱을 하기 때문에 노이즈 데이터에 약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절대값 손실 함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절대값 손실함수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서 표현할 수 있다.
$$f_c(x)=\sum_{i=0}^n |(y_i-\hat{y_i})|$$
위의 식은 아래와 같은 코드로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1
2
3
#MSE선언
def MSE(y,y_):
return 0.5*np.sum((y-y_)*(y-y_))
실제 구현한 MSE로서 Loss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MSE로 Error 구해보기
data = [0,0,1.0,0,0,0,0,0,0,0]
y1 = np.random.rand(10)
y2 = np.random.rand(10)
error1 = MSE(data,y1)
error2 = MSE(data,y2)
print('Error1: ',error1) #Error1: 1.682444310915726
print('Error2: ',error2) #Error2: 1.4036396123384067
MSE와 절대값 손실함수는 주로 회귀에서 사용
음의 로그우도(negative log-likelihood)
음의 로그우도(negative log-likelihood)는 주로 분류(classification)에서 사용한다.
음의 로그우도(negative log-likelihood)를 이해하기 위해서 정보량, 엔트로피의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한다.
정보량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I(x) = log(\frac{1}{p(x)}) $$
\(1 \over p(x)\) 은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이다.
이러한 값에 log를 취함으로 인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자원을 나타낸다.
Entropy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H_p(X)=\sum_{i=0}^n p(x_i)log(p(x_i)) $$
Entropy는 정보량에 대한 기댓값이며 동시에 사건을 표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평균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으로 정의된다.
예측이 어려울수록 정보의 양은 더 많아지고 엔트로피는 더 커진다.
Cross Entropy의식은 아래와 같다.
$$H(P,Q)= -\sum_{x} P(x)log(Q(x)) $$
Entropy는 P는 true label에 대한 분포를, Q는 현재 예측모델의 추정값에 대한 분포를 의미하게 된다.
즉, 우리는 true label에 대한 분포와 예측모델의 추정값에 대한 분포를 동일하게 만드는 것을 최종적인 목표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간단한 식으로서 Cross Entropy를 선언할 수 있다.
1
2
3
4
5
#Cross Entropy 선언
def CE(y,y_):
delta = 1e-7
return -np.sum(y_*np.log(y+delta))
#y가 0일경우 infinite를 반환하므로 매우 적은 값을 더해주는 과정이 필요
실제 구현한 Cross Entropy로서 Loss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수 있다.
1
2
3
4
5
error1 = CE(np.array(data),y1)
error2 = CE(np.array(data),y2)
print('Error1: ',error1) #Error1: 57.14002307803014
print('Error2: ',error2) #Error2: 55.90310988187259
크로스엔트로피계산 예시
범주가 2개인 정답 레이블 [1,0] 인 관측치 x가 있다고 가정하자.
P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의 분포를 나타낸다.
Q는 P에 근사하도록 만들고 싶은, 모델이 예측하는 분포를 나타낸다.
만약 Model의 학습이 잘 되어서 Q가 [1,0] 의 값이 나오게 된다면 Cross Entropy로서 계산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된다.
$$ -P(x)log(Q(x)) = \begin{bmatrix} -1 && 0 \end{bmatrix} \begin{bmatrix} log1 \\ log0 \end{bmatrix} = -(0 +0) = 0$$
만약 Model의 학습이 잘못 되어서 Q가 [0,1] 의 값이 나오게 된다면 Cross Entropy로서 계산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된다.
$$ -P(x)log(Q(x)) = \begin{bmatrix} -1 && 0 \end{bmatrix} \begin{bmatrix} log0 \\ log1 \end{bmatrix} = -(-\infty +0) = \infty$$
One-Hot-Encoding
위에서 사용한 Data는 One-Hot-Encoding된 데이터이다.
One-Hot-Encoding이란 Data의 크기를 벡터의 차원으로 하고, 정답인 인덱스에 1의 값을 부여하고, 다른 인덱스에는 0을 부여하는 방법 이다.
이러한 One-Hot-Encoding을 사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장 단점이 생기게 된다.
장점:Error을 구하게 될 시 Cross Entrophy에서 정답이 아닌 Label에 대한 오차는 0 이므로 계산 수월
단점:
1)벡터의 차원이 늘어날 수록 벡터를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 계속 늘어난다는 단점
2)NLP에서 단어를 One-Hot-Encoding으로 표현 시 단어의 유사성을 표현하지 못함
단점에 대한 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다.
늑대, 호랑이, 강아지, 고양이라는 4개의 단어에 대해서 원-핫 인코딩을 해서 각각, [1, 0, 0, 0], [0, 1, 0, 0], [0, 0, 1, 0], [0, 0, 0, 1]이라는 원-핫 벡터를 부여받았다고 합시다. 이 때 이 원-핫 벡터 표현 방법을 통해서는 강아지와 늑대가 유사하고, 호랑이와 고양이가 유사하다는 것을 표현할 수가 없습니다. 좀 더 극단적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원-핫 벡터로는 유사성을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강아지와 개라는 단어 유사 정도나 강아지와 냉장고라는 뜬금없는 유사 관계나 차이를 알아볼 수가 없습니다.
One-Hot-Encoding Data (Batch) Cross Entrophy
1
2
3
4
5
6
7
8
9
10
11
#Cross Entropy Batch선언(One-Hot-Encoding)
def BCE(y,y_):
delta = 1e-7
batch_size = y.shape[0]
return -np.sum(y_*np.log(y+delta))/batch_size
error1 = BCE(np.array(data),y1)
error2 = BCE(np.array(data),y2)
print('Error1: ',error1) #Error1: 5.714002307803014
print('Error2: ',error2) #Error2: 5.590310988187259
Label Data (Batch) Cross Entrophy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Cross Entropy Batch선언(Label)
def BCE2(y,y_):
delta = 1e-7
batch_size = y.shape[0]
if y.ndim == 1:
y_ = y_.reshape(1,y_.shape[0])
y = y.reshape(1,y.shape[0])
return -np.sum(np.log([y+1e-7,y_+1e-7]))/batch_size
data = np.array([1,2,3,4])
y1 = np.array([6,7,1,2])
y2 = np.array([3,4,1,2])
error1 = BCE2(np.array(data),y1)
error2 = BCE2(np.array(data),y2)
print('Error1: ',error1) #Error1: -1.90221775461924
print('Error2: ',error2) #Error2: -1.589027019340636
참조:원본코드
참조: ratsgo 블로그
참조:예비계발자 블로그
참조: 딥 러닝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입문
참조: 밑바닥 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문제가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면 wjddyd66@naver.com으로 Mail을 남겨주세요.
Leave a comment